
엔화의 가치가 떨어져 투자 목적으로 엔화를 사들이는 엔테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달러와 마찬가지로 엔화는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에 속합니다. 그 이유는 엔화의 신용이 높고 환금성 높으며 일본은 경제 대국으로 국제적으로 엔화 결제비율이 높은편이기 때문입니다.
엔화 약세가 장기화 되면서 엔화에 투자하거나 일본 주식을 투자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엔화 투자 방법과 전망이 대하여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엔화의 흐름
현재 엔화 환율은 100엔 기준 우리나라 돈 958원정도 입니다. 예전에는 100엔 기준 원화 1000원 이상이 기본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금융완화 조치로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엔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엔저 현상이 유지될 것으로 많은 이들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타이밍은 모르겠으나 달러는 많이 올랐고 엔화는 많이 떨어져있다는 사실입니다. 어느순간 달러는 떨어지고 엔화는 회복되는 상황이 분명 오리라 생각 됩니다.
엔화 투자 방법
첫번째, 일반적으로 달러와 같이 은행에서 외화통장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원화통장과 마찬가지로 수시입출금 통장 및 예금, 적금통장이 있습니다. 또한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를 받을 수 있고 환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습니다. 다만 예금 통장이지만 이자율은 거의 없습니다.
오프라인 은행에서 환전하는 경우 환전 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에 은행 모바일 어플을 이용하여 80~90% 환율우대를 받고 환전하는게 환전 수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토스어플을 이용시 달러, 엔화, 유로화 등 3대 통화에 대해 1인 1회에 한해 환율 우대 100%를 해주니 한번 이용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두번째, 엔화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현재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TIGER엔선물ETF 1개만 존재합니다. 엔선물지수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최근 엔화 약세로 거래량이 상당하 늘어나고 있지만 시가총액이 높지 않고 일일 거래량도 충분히 많지는 않습니다.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다만 환차익에 대한 세금은 없지만 일반적인 ETF 상품과 미찬가지로 운용수수료가 부과되고 투자 수익이 대한 소득세도 있습니다.
세번째, 일본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한국의 증권사를 통해 일본 도쿄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을 얼마든지 살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을 구매 할때 처럼 일본 주식을 사려면 원화를 엔화로 환전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본주식은 한국주식과 달리 1주씩 사는게 아니라 EFT를 제외한 모든 주식을100주씩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유니클로 주식을 사고 싶다면 현재 유니클로 주가가 1주당 29,485엔이므로 100×29,485엔 즉 2,948,500엔이 필요합니다.
원화로 바꾸면 28,330,000원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소액투자자가 투자하기엔 매우 부담스러운 가격이죠.
그래서 최근 개인들의 주식투자 참여를 확대하려고 액면분할하는 일본 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
엔화 투자 전망
최근 엔화가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도 엔화 약세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엔화 약세가 이어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엔화가 많이 떨어진 시점에 엔화 투자는 괜찮은 방법이라고 말합니다. 다만 엔화 약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달러도 마찬가지이지만 환율 상승 하락은 신의 영역입니다. 한번에 많은 돈을 투자하긴 보다 철저하게 분석한 후 분할매수를 권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엔화투자는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됩니다. 시기가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달러 약세 엔화 강세가 분명 오지 않을까 합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 선택 본인 책임입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한 자산 달러 투자 방법 (0) | 2023.03.07 |
---|---|
주식 공모주 청약 어떻게 하는 거지? (0) | 2023.03.01 |
과속카메라의 루머와 진실 (0) | 2023.02.27 |
외환시장 개방 새벽에도 환전 가능? (0) | 2023.02.22 |
2023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국산차가 유리한 이유 (0) | 2023.02.21 |
댓글